SUBLIME WITH STATA
  • Home
  • Home
  • Install
  • Install
  • Tweaks
  • Tweaks
  • Shortcuts
  • Shortcuts
  • Markdown
    • PlainNotes
    • MarkdownEditing
  • Markdown
    • PlainNotes
    • MarkdownEditing
  • KOR2ENG
  • ENG2KOR
  • Visual Tweaks
  • for Stata’s Convenience
  • miscellaneous
<
>

Color Scheme & Theme

1. ctrl/command+shift+p, p, c, i, Enter: Soda를 입력하고, 검색 결과 중 Theme - Soda를 설치합니다.
2. ctrl/command+shift+p, p, c, i, Enter: Monokai를 입력하고, 검색 결과 중 Theme - Monokai Pro를 설치합니다.
3. 상단 메뉴의 Preferences-Color Scheme...에서 Monokai Pro를 선택하고, Preferences-Theme...에서 Soda Dark 3을 선택합니다.

Other Visual Tweaks

1. 상단 메뉴의 Preferences-Settings를 선택하고, 오른쪽 탭 첫 번째 행의 { 오른쪽에 다음의 코드를 복사하여 붙여 넣고 저장합니다:
"caret_style": "phase", // 커서 위치한 곳의 깜빡임을 예쁘게 해줌
"draw_white_space": "none", // 드래그시 공백에 점을 표시하지 않음
"fade_fold_buttons": false, // 행 번호 오른쪽에 위치한 접기 버튼을 숨기지 않고 항상 표시
"font_options":
[
//	"gdi" // 폰트 출력을 예쁘게 해줌; Windows-only
],
"font_size": 11,
"highlight_line": true, // 현재 커서가 위치한 행을 눈에 띄게 해줌
"highlight_modified_tabs": true, // 열려 있는 탭 중 수정된 탭을 눈에 띄게 해줌
"line_padding_bottom": 1, // 행간격을 여유있게 해줌
"line_padding_top": 1, // 행간격을 여유있게 해줌
// "soda_classic_tabs": true, // Soda 테마 사용시 탭 모양을 예쁘게 해줌
// "soda_folder_icons": true, // Soda 테마 사용시 사이드바에서 폴더 아이콘을 표시해줌
"trim_trailing_white_space_on_save": true, // 저장시 코드에 있는 불필요한 공백을 삭제하고 저장해줌
"word_wrap": true, // 한 줄의 내용이 길어서 가로로 스크롤바가 생기는 경우, 실제로 행 번호는 바꾸지 않으면서 스크롤바가 생기지 않게끔 내용만 줄바꿈해서 표시해줌
  • 이 코드에서 일부 옵션은 사용자 환경이 상이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주석 처리되어 있습니다. 적용하고 싶다면 행 앞의 //를 삭제하세요.

​Set Default New File to Stata

1. ctrl/command+shift+p, p, c, i, Enter: Default File Type을 검색하여 설치합니다.
  • for Windows
  • for macOS
<
>
2. ctrl+n을 눌러 새 파일을 생성하고 다음의 코드를 복사하여 붙여 넣은 후, default_file_type.sublime-settings라는 파일명으로 저장합니다:
{
	"default_new_file_syntax": "Packages/StataEditor/StataEditor.tmLanguage",
	"use_current_file_syntax": false,
}
3. ctrl+n을 눌러 새 파일을 생성하고 다음의 코드를 복사하여 붙여 넣은 후, default_syntax.py라는 파일명으로 저장합니다:
# AppData\Roaming\Sublime Text 3\Packages\User\default_syntax.py

import sublime, sublime_plugin

class DefaultSyntaxCommand(sublime_plugin.EventListener):
   def on_new(self, view):
    # Replace  with desired default language
    # Check in AppData\Local\Sublime Text 3\Cache
    view.set_syntax_file('Packages/StataEditor/StataEditor.tmLanguage')
2. command+n을 눌러 새 파일을 생성하고 다음의 코드를 복사하여 붙여 넣은 후, default_file_type.sublime-settings라는 파일명으로 저장합니다:
{
	"default_new_file_syntax": "Packages/Stata Improved Editor/Stata.tmLanguage",
	"use_current_file_syntax": false,
}
3. command+n을 눌러 새 파일을 생성하고 다음의 코드를 복사하여 붙여 넣은 후, default_syntax.py라는 파일명으로 저장합니다:
# AppData\Roaming\Sublime Text 3\Packages\User\default_syntax.py

import sublime, sublime_plugin

class DefaultSyntaxCommand(sublime_plugin.EventListener):
   def on_new(self, view):
    # Replace  with desired default language
    # Check in AppData\Local\Sublime Text 3\Cache
    view.set_syntax_file('Packages/Stata Improved Editor/Stata.tmLanguage')
4. 상단 메뉴의 Preferences-Browse Packages...를 선택하고, 해당 경로 안의 User 폴더로 생성한 2개의 파일을 이동하세요.
​5. 이제 새 파일을 생성하였을 때, (상단 메뉴의 View-Syntax에서 수동으로 문법을 바꿔주거나 .do 확장자로 파일을 저장하지 않더라도) 기본적으로 Stata 문법을 강조합니다.

Highlighting {}, [], (), ""

1. ctrl/command+shift+p, p, c, i, Enter: BracketHighlighter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.
2. 상단 메뉴의 Preferences-Package Settings-BracketHighlighter-Bracket Settings를 선택하고, 오른쪽 탭에 다음의 코드를 복사하여 붙여 넣고 저장합니다:
{
	"bracket_styles": {
		"default": {
			"style": "solid"
		}
	},
}

Highlighting & Inserting Color Codes

1. ctrl/command+shift+p, p, c, i, Enter: Color Highlight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.
2. ctrl/command+shift+p, p, c, i, Enter: ColorPicker를 검색하여 설치합니다.
3. 상단 메뉴의 Preferences-Package Settings-Color Highlight Settings를 선택하고, 오른쪽 탭의 내용을 다음의 코드로 대체하고 저장합니다:
{
	"user": {
		"gutter_icon": "square",
	},
}
4. 이제 do-file 내에 색상 헥스 코드 또는 색상 이름이 존재할 경우, 다음의 예처럼 해당하는 색을 서브라임 텍스트 창에서 바로 볼 수 있습니다.
  • (색상 강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) ctrl/command+shift+p, c를 누르고 Color Highlight: Reset을 선택하세요.
grstyle set color blue: background
grstyle set color #ab9df2
  • for Windows
  • for macOS
<
>
5. ctrl+shift+c: 색상을 선택하는 팝업창 단축키; 색을 고르면 헥스 코드로 do-file에 입력됩니다.
  • (단축키 작동하지 않는 경우) 상단 메뉴의 Preferences-Key Bindings를 선택하고, 오른쪽 탭 첫 번째 행의 [ 오른쪽에 다음의 코드를 복사하여 붙여 넣고 저장합니다:
{
	"keys": ["ctrl+shift+c"],
	"command": "color_pick",
},
5. command+shift+c: 색상을 선택하는 팝업창 단축키; 색을 고르면 헥스 코드로 do-file에 입력됩니다.
  • (단축키 작동하지 않는 경우) 상단 메뉴의 Preferences-Key Bindings를 선택하고, 오른쪽 탭 첫 번째 행의 [ 오른쪽에 다음의 코드를 복사하여 붙여 넣고 저장합니다:
{
	"keys": ["super+shift+c"],
	"command": "color_pick",
},

Read & Edit EUC-KR

1. ctrl/command+shift+p, p, c, i, Enter: ConvertToUTF8을 검색하여 설치합니다.
  • (필요한 경우) 상단 메뉴의 File-Set File Encoding to-EUC KR을 통해 한글이 깨지지 않게 EUC KR 파일을 편집할 수 있습니다.
Powered by Create your own unique website with customizable templates.
  • Home
  • Home
  • Install
  • Install
  • Tweaks
  • Tweaks
  • Shortcuts
  • Shortcuts
  • Markdown
    • PlainNotes
    • MarkdownEditing
  • Markdown
    • PlainNotes
    • MarkdownEditing
  • KOR2ENG
  • ENG2KOR